국민학교 다닐 때 아이들이 어찌나 많은 지 한 반에 보통 70명이 넘었다. 10반을 넘었으니 쉬는 시간에 운동장을 내려다보면 거짓말 안 보태고 새카맣게 보였다. 몇 학년 때인가 기억이 안 나는데 내 짝은 몹시 마르고 까무잡잡한 여자 아이였다. 짝은 도시락을 한 번도 가져오지 않았고 옥수수빵을 받아 먹었다. 그런데 그 빵도 다 먹지 않고 남겨서 가방에 넣는 것을 여러번 보았다.
연필이니 공책도 없을 때가 많았고 그림 도구는 아예 준비를 해오지 않았다. 그래서 내 것을 많이 썼는데 정말 아껴서 잘 쓰려고 하는 것이 보여 반 쯤 쓴 크레용셋트와 도화지를 나누어 주기도 했다. 어느 날인가 그 애가 빵을 받아서 자리에 앉는데 그 냄새가 너무 좋아서 내 도시락과 바꾸어 먹자고 했다. 그래도 되느냐고 하면서 짝은 너무나 맛있게 도시락을 비웠고 나는 옥수수빵을 잘 먹었다.
내가 짝에게 앞으로 종종 바꾸어 먹자고 했더니 그 애는 그렇게 좋아했다. 나는 그 시절만 해도 빵순이었고 옥수수 빵은 밥보다 훨씬 맛있었다. 아버지에게 그런 이야기를 했더니 그저 미소를 지으며 밥을 많이 담아 가라고 할 뿐이었다. 다음 날도 바꾸어 먹었는데 그 애는 반 정도 먹고 남겨서 새까만 빈 도시락에 모두 담는 것이었다. 나는 왜 그러느냐고 묻지도 않고 집에 와서 아버지에게 또 미주알고주알 다 말했다. 아버지는 고개를 끄덕이며 짝이 어디 사느냐고 물었으나 나는 몰랐다.
그런 일이 되풀이 되고 어느 날 아버지가 하굣길에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짝과 함께 나오던 길이었는데 아버지는 그 애 집에 가자고 했다. 짝은 무서워 하면서 무조건 잘못했다고 말하며 울음을 터트렸다. 쌀밥과 빵을 바꾸어 먹은 일을 들켜 혼을 내는 것으로 생각하고 울음이 터졌다고 후일 그 애가 내게 말했다. 아버지는 무릎을 구부리고 앉으며 그 아이를 안아 주었고 우리는 함께 짝의 집까지 걸어 갔다.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산다는 고갈산 밑의 동네는 온통 루핑지붕 집이었고 생전 처음 가 보는 이상한 세계였다.
나는 못 들어가고 아버지만 들어 갔는데 한참 있다 나온 아버지의 손을 잡고 동네를 벗어날 때 까지 우리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먼저 입을 연 아버지는 짝에게 잘해주라고 했다. "니 나이 때의 아이라 한창 먹을 때인데 도시락을 반 남겨서 집에 가져 간다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지. 아버지가 그 이유가 궁금 했었어. 밥을 가져가서 저녁으로 먹는다면 그렇게 굶기는 부모는 못 쓰는 사람들인 것이야. 그런데 네 짝은 그 밥을 가져가서 물을 넣고 끓여 아픈 아버지께 죽을 끓여 드린 거야. 아버지가 많이 아파서 어머니가 장사해서 겨우 먹고 사는데 아버지 끓여 줄 쌀 한 줌이 없는 것이야. 쌔까만 보리밥만 해먹으니 아픈 사람이 먹지를 못하는데 쌀밥 죽을 먹고 많이 원기를 채렸다고 하는구나. 심청이 못지 않은 아이야."
아버지가 짝의 집에 무엇을 해주었는지 나는 다 모른다. 짝의 어머니가 아버지의 도움으로 시장의 난전 한 곳에서 고정적인 장사를 하게 되었고 쌀가마니가 왔다고 그 애 가 내게 울면서 말해서 알았다. 아버지는 그 애가 심청이 같은 효녀이기에 작은 도움을 주었다고만 했고 나도 그렇게만 알고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다. 엄마가 알면 시끄러워지고 싸움이 나기 때문에 그런 일은 말하지 않는 것이 옳았다.
언제나 말하지만 우리집은 부자가 아니었고 때론 아버지의 자선은 지나칠 때가 있다는 것을 나도 알았다. 장사해서 남 다 퍼준다고 엄마가 대들면 아버지는 허허 웃으며 항상 하는 말이 있었다. "두 개 다 가지면 행복하니? 곳간에 많이 쌓아 두면 더 행복하냐? 쪼끔만 나누어 주면 신간이 편한데 그것이 더 좋지 않니?"
쪼끔만 나누어주면 신간이 편하다... "신간이 편하다"는 그 말의 뜻을 나는 요즘 알아가는 듯 하다.
두 개 가지고 있어서 행복이 두 배가 되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어 그 행복감이 주는 느낌이 얼마나 좋은지 모른다. 두 개를 나누어 나는 한 개만 있게 되었는데 그 충만한 느낌은 두 배, 세 배가 되니 아버지가 왜 그랬는지를 이제야 알게 된다. 이북에 있는 조부모님이 집에 찾아오는 사람 그 누구도 빈 손으로 보내지 않았는데 한 번도 재산이 준 적이 없노라고 아버지는 늘 내게 말했다. 나누어서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고 가르쳐준 이 유산이 내게는 무엇보다 귀한 유산이다. 그나마 조금이라도 그저 습관이 되어 나눈 시간이 조금도 아깝지 않다.
"두 개 다 가져서 행복하니?" 껄껄 웃는 아버지의 목소리가 이렇게도 선명하다.
출처 : 권영심(변호사)여사 글
대립과 갈등
작성자 :
2023. 08. 14 (19:12)
한쪽에서는 세상이 답답하고 걱정스럽다고 한다. 다른 한쪽에서는 세상이 제대로 잡혀가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보수와 진보의 대립과 갈등이 점점 심각해져 가고 있다. 이렇게 서로를 헐뜯고 굴복시켜야 할 경쟁의 적(賊)으로 봐야하는 것인가?
세상의 보수와 진보는 고정불변의 가치관이라고 할 수 없다. 보수에 진보의 색깔이 입혀지고 진보는 보수의 가치관을 받아들이기도 한다. 보수였던 사람이 진보로 돌아서기도 하고 진보였던 사람이 보수로 변신하기도 한다. 자연스러운 일이고 당연한 일이다. 어찌 사람이 한결같을 수 있겠는가? 바람이 갈대를 휘젓듯 이리저리 휘어가며 성장하는 것인데 하물며 시대의 가치관이 변화하듯 개인의 가치관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기 마련이다. 변화의 흐름을 간과하고 무조건 변절자라고 기회주의자라고 매도하면 안된다.
상대진영의 의견을 경청하고 옳고 그름을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협의해 나아가는 상생의 길을 택해야 한다. 사회의 어른으로서 지도자로서 언행을 점잖게 하고 중용의 미덕을 살려야 한다. 보수적인 안정적 태도를 견지하면서도 진보의 혁신을 추구할 수 있는 혜안과 지혜를 갖추어야 한다. 이 사회의 어른이라면 한쪽에 치우쳐 이전투구하는 일부 못난 자(者)들을 엄히 꾸짖거나 때로는 다독이면서 함께 나아가도록 방향을 잡아주어야 한다. 보수와 진보를 아울러서 적재적소에 인재를 등용시켜야한다. 제 식구를 챙겨서는 안될 일이다. 보수이던 진보이던 사람의 성향을 가리지 말고 사익보다 나랏일을 먼저 걱정하고 살신성인의 자세로 일할 수 있는 실력과 인품을 갖춘 인물을 등용시켜야 한다.
지금은 어떠한 가? 참담한 현실일 뿐이다. 이전 정권의 진보일색, 진보과반의 색깔을 보수일색, 보수과반의 시대로 바꾸려고만 하고 있다. 상대진영을 사람 취급도 하지 않는다. 권력을 잡은 극소수의 사람들이 다수의 대중을 안중에 두지 않고 마치 무도한 어리석은 자들을 가르치려는 듯 하고 있다. 이래서는 대통합은 커녕 대립과 갈등이 더욱 커질 뿐이고 우리나라의 위상도 점점 추락할 뿐이다. 우리는 아픈 상처를 가진 민족이다. 혼란한 시대에 좌익과 우익으로 나뉘어 서로를 죽이고 죽였던 참혹한 과거를 가졌고 아직도 그 상처가 덜 아물어서 한쪽에서는 공산주의 빨갱이라고 하고 한쪽에서는 매국노 친일파라고 한다. 좌파들이 정말 북한을 동경하는 공산당 빨갱이인가? 우파들은 정말 뼈 속까지 친일파인가? 조금만 생각해도 말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알만한 일이다. 그런데 자기보다 조금이라도 우측에 있으면 수구꼴통이라고 하고 한치라도 좌측에 있으면 좌익빨갱이라고 몰아 부친다. 제일 나쁜 놈들은 우파 좌파 편갈라서 이용하고 자기 이득을 취하려는 자들일 것이다.
우익이면 어떻고 좌익이면 어떠하리요! 기회주의자라고 비아냥거리지 말고 서로를 인정하고 상호 경쟁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해야만 한다. 어렵게 도달한 선진국 문턱에서 뒤로 물러나서는 안된다.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여 보수가 좌파세력을 다 때려 죽일 수 없고 진보가 우파세력을 몰살 시킬 수 없는 일이다. 끝없는 되돌림표에 따라 서로가 죽고 죽일 수 없는 일이다.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 다른 편에 있다고 하는 사람들은 바로 나의 친구이고 동료이고 친척이고 가족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50대, 60대, 70대 어른들은 생각을 고쳐먹어야 한다!
대표 : 배기용 l 상호명 : 셔블디자인
l 사업자등록번호 : 214-07-88147 [사업자정보확인]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해당 사항 없음) l 031-459-9954,070-8613-9954,F031-459-9953
사업장소재지 : 14112 경기 안양시 동안구 경수대로 544번길 20 영우빌딩 410호 안양사무소 l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 김옥희 Copyright ⓒ 가구도사닷컴(GAGUDOSA.COM)
All Rights Reserved.